와이드 앵글
경칩봄방학을 맞은 취시는 편하게 쉬려는 마음에 고향에 있는 엄마의 집에 온다. 하지만 엄마의 잔소리는 멈추지 않고, 숨겨왔던 성 정체성마저 들키면서 완벽한 아들의 모습으로부터 멀어진다. (박성호)
특별기획 프로그램
고양이를 부탁해 (4K 복원작)인천에서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한 다섯 친구는 각자 감당해야 할 삶의 무게를 안고 있다. 혜주와 태희, 화교계 쌍둥이인 비류와 온조가 각각 고졸 출신 증권사 직원으로, 부모의 찜질방 도우미로, 액세서리 노점상으로 그럭저럭 살아가는 데 반해, 지붕이 무너져가는 집에서 병든 조부모와 함께 사는 지영의 상황은 훨씬 절박하다. 아기고양이 티티는 하필 그런 지영에게 찾아온다. 고양이가 혜주와 태희, 비류, 온조의 손길을 ...
와이드 앵글
공백백화점 미화원 은숙은 화장실 마지막 칸에 몸을 숨기고 클래식 음악을 듣는 게 일상의 낙이다. 어린 딸을 위해 좋은 학군으로 무리해서 이사한 은숙에게 제 삶은 늘 뒷전이다. 가난한 노동자 엄마의 삶에 가느다란 빛을 선사하는 신선한 엔딩이 인상적인 작품. (강소원)
아이콘
괜찮아, 잘 될 거야엠마뉘엘 베르네임이 쓴 동명의 자전소설을 영화화했다. 데뷔 이후 이십 년이 지난 지금도 젊은 감각을 유지하는 프랑수아 오종이 그 사이로 선보이는 성숙한 계열의 작품이다. 때때로 죽음에 집착해온 그는 현대 부르주아 가정을 빌려 ‘어쩔 수 없이 마주해야 하는 노화와 죽음의 선택 및 절차’를 질문한다. 유럽 예술영화의 황금기를 장식했던 ‘앙드레 뒤솔리에, 샤를롯 램플링, 한나 쉬귤라, 그리고 소피 마르소’의 연기를...
와이드 앵글
굿 (Exorcism)"제 말이 거짓말 같으세요?" 한 여자가 어릴 적 겪은 엄청난 경험담을 우리에게 들려주겠다 한다. 할머니가 운영하던 모텔에서 본 요상한 부적들, 방울 소리가 울리고 괴이한 기운에 홀려 한바탕 굿판이 벌어진다. 발칙하고 독창적인 상상력이 돋보이는 털실인형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강소원)
한국영화의 오늘
그 겨울, 나는경학(권다함)은 경찰 공무원 준비생이고 여자친구 혜진(권소현)은 취업 준비생이다. 둘은 동거 중이다. 가난한 경학은 부모가 빌린 대출금까지 떠안게 되면서 잠시 시험 준비를 멈추고 배달업을 시작하게 된다. 그사이 취업에 성공한 혜진은 점점 더 회사 일에 집중하게 되고, 경학도 배달업이 중대한 생활이 되며 둘 사이는 멀어지기 시작한다. 현실에서 너무 많이 보고 들었던 불우한 청춘의 이야기일 뿐 아니냐고 반문하는 ...
월드 시네마
그 남자는 타이타닉을 보고 싶지 않았다난치병으로 시력과 기동성을 잃은 야코는 원거리 연애 중이다.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도시에 사는 연인을 만나기 위해 안전한 집을 벗어난 야코가 마주한 세상은 생소하고 위협적이다. 실제로 다발성 경화증을 앓고 있는 장애인 배우를 캐스팅해 그의 생생한 체험을 스크린에 창조함으로써 관객에게 안겨주는 감각적 경험이 놀랍다. 주인공의 흐린 시야가 작은 아파트에서 길거리로 확장 되고, 번잡한 소음이 쏟아지는 기차역을 지나...
오픈 시네마
그녀가 좋아하는 것은웹소설로 인기를 끈 뒤 드라마에 이어 극영화로 제작된 작품. 「그녀가 좋아하는 것은 호모이지 내가 아니다」라는 제목으로 국내 출간되기도 했다. 고등학생 준은 자신이 게이라는 사실을 숨기고 있지만 나이 많은 남자와 몰래 사귄다. 같은 반 여고생 사에는 준이 게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그에게 호감을 갖는다. BL물을 좋아하는 사에는 우연히 서점에서 준과 부딪치고 들고 있던 BL만화를 들켜버린다. 자신의 비밀까지 들...
와이드 앵글
그래도, 화이팅!출산을 앞두고 있는 준석과 소라 부부의 주말 아침은 분주하다. 주중엔 직장에, 주말엔 배달 일에 나서는 준석은 지친 기색 하나 없이 흥이 넘친다. 캐릭터의 개성과 미묘한 유머, 이들 커플의 절묘한 합으로 빼곡히 채워진 가난하고 유쾌한 부부의 어떤 하루. (강소원)
와이드 앵글
기국서의 배우수업'극단 76'의 연출가 기국서와 배우들이 사무엘 베케트의 「엔드 게임」을 무대에 올리기 위해 연습에 돌입한다. 「엔드 게임」은 기국서의 동생이자 배우인 기주봉을 비롯해 노련하고도 훌륭한 배우들이 다 모인 공연이지만 연습 과정이 녹록지만은 않다. 무대와 관객, 배우들 사이의 감정선을 면밀히 분석하고 구축하는 연출가는 시시때때로 불호령을 내리고 배우들은 고뇌를 거듭한다. 연극이 상연되기 전까지의 과정을...